청소년상담/아동상담/노인상담

아동/청소년 상담

우울증
어른들과 다르게 아이들의 우울증은 다른 형태로 나타납니다. 아동의 우울증은 가면속에 감추어졌다고 하여 가면성 우울증이라고도 불립니다.
겉으로 쉽게 알아내기가 어려워 충분한 대화나 감정을 들여다 보아야 알아낼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증상은 삶에 대한 흥미 및 관심 상실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우울증 발병 연령이 어린 경우 자신의 감정이나 불편함을 언어보다는 신체적인 호소나 행동으로 드러내면서  자신의 슬픔을 떨쳐버리
지 못하고 일상생활, 사회적관계, 학업수행능력 등의 전반적인 기능을 방해하게 됩니다. 

불안
아동의 불안은 부모아 떨어지는 것이 어려운 분리불안 시험불안 적응에서의 불안 등으로 가족환경과 성향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아동은 부모님의 바른 양육방밥과 아이가 독립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지지가 필요합니다.

충동조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충동적이고 행동을 억제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공격적인 행동을 자주 보이며 주의 산만한 문제로 인해 학업문제가 나타나는 소아정신과적 장애입니다.
우울증의 증상은 삶에 대한 흥미 및 관심 상실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학교부적응
많은 아이들은 또래관계나 대인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느낍니다. 부모의 지나친 간섭과 과보호 대인기피나 따돌림 학교부적응 등의 문제로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면 적응하기 어려워지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게 됩니다.
“ 학교 가기싫어요…” 학교가기를 거부하는 아이, 원인부터 파악해야 합니다. 

또래관계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우리 아이
 많은 아동들이 또래관계나 대인관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래관계의 문제는 부모의 지나친 간섭이나 과보호 또는 아이의 성격, 환경에 따라 나타납니다. 

게임/스마트폰 과몰입
인터넷 자체를 즐기기보다는 현실적 문제에 대한 회피적인 행동일수 있으며 인터넷에 몰두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고 이로 인해 학업 및 친구관계 등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어려움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시험불안증이란? 
아이가 시험이 다가오면 유독 불안해하고, 배가 아프다거나 머리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라면  시험불안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험불안은 시험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시험공부에 지장을 받거나  시험을 칠 때 자신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면성 우울증 
 우울증상이 연령층에 따라 다른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아기에 겪는 상실에 따른 우울증에서는 이별 불안, 학교공포, 애착행동, 행동과잉, 성적 저하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사춘기 때는 반사회적 행동, 가출, 무단 결석, 알콜남용, 성적 문란 등이 나타납니다. 

분리 불안
떨어지지 않으려고 해요.
애착 대상으로부터 분리될 때 느끼는 불안의 정도가 일상 생활을 위협할 정도로 심하고 지속적인 경우를 말합니다. 
부모와 분리되는 상황에서 보이는 불안을 분리불안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라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분리불안을 보이며,특히 유치원이나 학교에 입학하는 초기에 증상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러한 분리불안은 대개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사라지지만,지나치게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아동의 경우에는 학교적응 및 또래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부모의 경우에는 과도한 양육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돌림
따돌림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초기 대응,지속적인 관심 및 전문적인 개입이 꼭 필요합니다.